분류 전체보기 556

교통량 통제에 따라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농도 낮아져

▷ 서대문구 연세로 교통혼잡 지역(신촌역)과 인접한 대중교통 전용지구(유플렉스)의 미세먼지 농도 9일간 비교 분석▷ 교통량 통제에 따라 미세먼지(PM2.5) 7%(51.2→47.6㎍/㎥) 낮고, 유해물질인 벤젠과 1,3-부타디엔의 농도 31~36% 떨어져 같은 지역이라도 교통량을 통제함에 따라 미세먼지(PM2.5), 벤젠 등의 유해물질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수도권대기환경청과 올해 4월 24일부터 9일간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일대의 교통혼잡 지역인 신촌역과 이 곳의 북쪽에 인접한 대중교통전용지구 유플렉스 광장을 대상으로 대기질을 비교 측정한 결과, 교통량에 따라 미세먼지와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하 VOCs) 등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비교 측..

환경뉴스 2018.07.14

(환경부 해명) 7월12일 서울신문 기사 "기업 온실가스 17억 7713만t 배출 허용…年 추가비용 4조 5,000억"

(해명) 2018년 7월 12일 서울신문에 보도된 "기업 온실가스 17억 7713만t 배출 허용…年 추가비용 4조 5,000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 보도 내용 ○ 발전사 등 26개 업종은 전과 달리 할당량의 3%를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해서 연 4조 5,000억 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 해명 내용 ○ 유상할당분은 기업이 의무적으로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권이 부족할 경우 경매를 통해 구매하며, 그 비용은 연간 최대 1,700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음환경부 해명자료 바로가기

환경뉴스 2018.07.12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총량안 3년간 17억 7,713만 톤

▷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안'에 대한 공청회 개최▷ 제1차 계획기간(2015∼2017년) 배출권은 1,500여만 톤(0.93%) 여유로 잠정 분석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7월 12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안(이하 할당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발전사, 철강업체 등 대규모 온실가스 배출업체*들의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행됐다. *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 12만 5천톤 이상인 업체(업체 단위 지정 업체) 또는 ▲ 2만 5천톤 이상인 사업장을 보유한 업체(사업장 단위 지정 업체) 3∼5년간의 계획기간*을 구분해 업체들의 배출허용총량을 정하고, 각..

환경뉴스 2018.07.12

세계 전문가 머리 맞대 온실가스 줄이기 지혜 모은다

▷ 파리협정 감축목표 이행방안 및 탄소시장 활용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7월 11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컨퍼런스 개최▷ 영국, 독일, 일본 등 6개국의 최신 동향 및 전문가 토의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이하 센터)는 7월 11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2018 국제 온실가스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2010년 센터 출범 행사의 하나로 개최된 이래, 지난 8년간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 탄소 시장 전망 등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동향을 매년 공유하고 있다. 올해 컨퍼런스는 파리협정 이후 '각국이 결정하는 감축기여분(이하 NDC*)' 이행 준비라는 주제로 열린다. 김영훈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국내외 NDC 이행계획 및 탄소시장 전문가 12명 등 약 150여 명이 ..

환경뉴스 2018.07.12

재생에너지가 생산한 전력(電力), 국방 전력(戰力)에 기여한다

재생에너지가 생산한 전력(電力), 국방 전력(戰力)에 기여한다 - 산업부·국방부·한국전력·에너지공단 간(間) 공동 MOU 체결 - - 2030년까지 군(軍) 전력사용량의 25%를 재생에너지로 공급 - □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공사, 한국에너지공단은 7. 11.(수), 육군 제3야전군사령부(용인시 소재)에서 ‘군(軍)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4자간 업무협약’를 체결했다. ‘군(軍)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MOU’개요 󰋯(일시·장소) 2018년 7월 11일(수) 제3야전군사령부(경기 용인시) 󰋯(참석자) 산업통상자원부 이인호 차관, 국방부 서주석 차관,한국전력공사㈜ 김동섭 부사장 직무대행, 한국에너지공단 이상홍 이사장 직무대행 󰋯(역할) △산업부, 사업화 기획·기술협력 △국방부, 군..

(산자부해명자료) 중금속 범벅 ‘폐 태양광 패널’ 폭증… 무방비로 매립만 (’18. 7. 10, 문화일보)

1. 기사내용 □ 태양광 폐패널 발생량 급증 전망 △ 태양광 패널에는 발암물질인 납과 크롬, 카드뮴-텔루라이드가 쓰임 △ 2023년까지 폐패널 무방비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 우리나라에 보급된 태양광 모듈에는 크롬, 카드뮴 등은 포함되지 않으며, 셀과 전선 연결을 위해 소량의 납이 사용됨 * 일반적으로 폐 태양광 모듈에는 중량기준으로 0.1% 이하의 납이 포함됨 *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카드뮴-텔루라이드를 태양광 박막전지의 소재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음 □ 한편, 산업부는 태양광 폐모듈 수거체계 수립 및 상용화 기술개발 등을 위해 `16년부터 ‘태양광재활용센터 구축 기반조성’ 사업 추진 중 ㅇ 동 사업을 통해 충북 진천에 2021.6월 준공을 목표로 재활용..

환경뉴스 2018.07.11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를 위한 한국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본격 시행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를 위한 한국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본격 시행!-‘18년 소형 태양광 고정가격계약(한국형 FIT) 매입 참여 공고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7월 12일부터 『소형 태양광 고정가격계약(이하 한국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 제도를 본격 시행한다. ㅇ 한국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는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전기 판매절차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5년 한시로 우선 추진한다. ㅇ 이 제도의 운영기관인 한국에너지공단은 7월 12일부터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www.knrec.or.kr)에 『‘18년 소형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매입참여 공고』를 시행하고 발전사업자의 신청 접수를 받는다. ※ “RPS 종합지원시스템” 접속 방법 (아래 ..

햇빛발전 2018.07.11

2018년7월10일(화) REC 현물시장

하나, 7월10일(화) REC 현물시장은 ▲ 1,000원(+0.95%) 상승한 106,000원에 마감하였습니다. 평균가 105,299원, 최고가 106,000원, 최저가 100,700원입니다.https://www.mal-eum.com/rec/trend 둘, 지구온난화, 예측보다 두 배 더 심각지구온난화가 현재의 기후모델이 예측한 것보다 두 배나 더 심각할 수 있다고 17개국 과학자들이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를 통해 경고했습니다. https://www.mal-eum.com/board/haessal 셋, OECD가 환경보호를 위한 전기료 인상을 권고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가정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기준 ㎾h당 8.47펜스(약 125원)였다. 이는 조사 대상 OEC..

REC현물 2018.07.10

(산자부해명자료) 선진국들 속속 원전으로...韓도 국익 따져야(7.10, 매경), 국제사회, 韓

1. 기사내용 ① 원전 찬성, 1년새 10%P↑(매경) ② 선진국들 속속 원전으로, ‘탈원전’ 재검토하는 선진국(매경) ③ 정부가 탈원전 조치를 과속질주로 강행하고 있음(매경) ④ 국내 원전산업 토대 무너져...사우디 등 원전 수출 먹구름(매경),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무리하게 밀어붙이는 한편 수출을 추진하는 것은 모순(서경·조선), 신규원전 투자가 꺾이면 세계 원전 수출에도 큰 타격을 입을 것(조선) ⑤ 정부는 기업에 저렴하게 제공하던 심야 전기요금(경부하요금) 할인 폭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나섰음, 탈원전에 따른 부담을 기업에 떠넘기려 한다는 지적(매경), 성급한 탈원전으로 산업용 전기요금이 오를 경우 우리 주력산업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음(서경)2. 동 보..

환경뉴스 2018.07.10

산자부 (해명자료)전 속도전이 부른 ‘태양광 산사태‘ (’18. 7.5, 조선일보), 태양광 와르르... 탈원전 과속 경고음(’18. 7.5, 매일경제)

1. 기사내용 □ 탈원전 및 재생에너지 전환정책 과정에서 산지내 태양광 발전시설 보급확대로 산사태 등 피해 확산 우려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입장 □ 청도 태양광 발전설비는 지난 정부 때 발전사업 인허가를 받아 ‘17.4월 사용전 검사*를 받은 것으로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는 무관 * 「전기사업법」에 공사계획의 인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고 설치한 전기설비는 사용전검사를 받도록 규정 □ 우리부는 ‘재생에너지 3020이행계획’(’17.12월)에서 ‘환경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확대’ 과제를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ㅇ 후속으로 ‘태양광‧풍력 보급 확대에 따른 부작용 해소대책’을 발표(’18.5월)하여 산지 태양광 설치를 최소화하도록 조치하였음 https://bit.ly/2u656k9

환경뉴스 2018.07.09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