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 현물시장 이대로 좋은가? (주식시장과 비교)
한국전력거래소나 한국에너지공단에서 REC 양방향 현물시장을 설명할 때 주식시장과 같다고 합니다.주식시장과 같이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고 하네요. "정말 주식시장과 같이 가격이 결정될까" 라는 의문이 들고 이렇게 폐쇄적인 시장에서 시장 메커니즘이 동작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아래 차트는 2019년 산업부가 발표한 공급의무자별 의무공급량입니다. 이 의무공급량 중 일부가 (2018년 기준 약 30%) REC 양방향 시장의 수요량이 됩니다. 파이(Pie) 차트로 그려보면 발전 6개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이의무공급량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공급의무자가 총 21개사 이지만 현물시장에 참여하는 실제 수요자는 6개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