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뉴스

2018년 1~6월(상반기) 누계 수출 동향 및 특징

728x90
반응형

 

2018년 1~6(상반기) 누계 수출 동향 및 특징

- ‘18. 8. 23(배포 -

 

ㅇ 본 동향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협회 무역통계(K정보기술(IT)A)를 기초로2018 16 수출 실적을 분석한 것임

 

ㅇ 다만연간 통계 확정시(2019.2)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 가능

 

 

4차 산업혁명을 기회로 미래 수출 먹거리 창출중

 

유망 신산업 수출증가율 23.9%로 총 수출증가율(6.3%)을 3배 이상 상회

주력 품목별로 고부가가치 세부품목(전기차·OLED·SSD ) 수출 비중 확대

·후방 산업연관효과가 큰 석유화학 수출 13.2% 증가(250억 달러)

대규모 정제설비 인프라를 토대로 석유제품 수출 34.3% 증가(220억 달러)

시장(전기차 등) 확대에 따라 축전지(22.9%)·고성능섬유(39.2%) 성장세 완연

 

1. 18년 상반기(1~6) 수출 주요 특징 및 평가

 

󰊱 유망 신산업 수출액(’18., +23.9%, 390.1억 달러)이 지속 증가하는 추세로 품목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진전

 

유망 신산업 수출액 추이(억 달러) : (’16)554.2 → (’17)736.0 → (’18.,)390.1

 

<유망 신산업개요 >

 

▪ 「신산업 민관협의회」 선정('16.12) 12대 신산업 중 HS코드 신설지정을 통해 수출실적 집계 가능한 9개 산업에서 매월 1일 수출입 동향에서 발표하는 유망 소비재’ 제외

 

▪ ①전기차로봇바이오헬스항공우주에너지신산업(태양광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용 축전지스마트미터),첨단 신소재차세대 디스플레이차세대 반도체

 

※ 기술개발 초기단계인 신산업 특성상 현재 HS코드가 미부여되었거나범용성 제품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어 개별산업 실태조사상의 수출통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유망 신산업 수출의 증가율은 총 수출 증가율(’18., +6.3%) 3배 이상 상회하는 등 고속 성장 중이며 수출비중도 점진적 확대 추세

 

유망 신산업 수출증감률(%) : (’16)6.1 → (’17)32.8 → (’18.)23.9

* 유망 신산업 수출비중(%) : (’16)11.2 → (’17)12.8 → (’18.)13.1

 

- 품목별로는 총 8개 품목 중 전기차·바이오헬스·첨단신소재·에너지신산업  7개 품목(항공우주 제외) 수출 증가하여 대다수 품목 선전

 

주요품목 수출증감률(%) : (전기차)95.1, (바이오헬스)28.7, (첨단신소재)26.7, (에너지신산업)16.7

 

- 지역별로는 10대 주요지역 중 미국중동 제외한 8개 주요지역에서 수출이 증가(8개 지역 모두 두 자릿수 증가)하여 지역별로도 고른 성장

 

주요지역 수출증감률(%) : (아세안)28.4, (EU)45.0, (인도)72.1, (중국)14.1

 

< ’18년 상반기 유망 신산업」 수출 실적(통관기준>

(단위 달러, %)

구 분

’17

’18

1Q

2Q

3Q

4Q

연간

1Q

2Q

상반기

수출액

151.3

163.4

199.9

221.4

736.0

204.2

185.8

390.1

증감률

(20.6)

(19.4)

(29.2)

(37.8)

(27.4)

(35.0)

(13.7)

(23.9)

비중

11.5

11.1

13.2

15.4

12.8

14.1

12.3

13.1

 

* ’17년 증감률 계산시 태양광 수출실적은 미포함(’17년 태양광 코드 전면 신설)

 

󰊲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아세안·중남미·중동·인도·독립국가연합(CIS))에 대한 수출이 확대 추세(’18., +2.8%)로 시장 다변화도 개선

 

남북교역축 신흥시장 수출(억 달러) : (’16)144.7 → (’17)172.0 → (’18.,)86.9

 

ㅇ 특히유망 신산업 수출의 경우아세안·인도·독립국가연합(CIS) 등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의 주요지역 수출이 크게 성장(’18., +26.3%)하고 수출비중 증가(’17.28.4’18.,28.5%) 하는 등 수출 시장 다변화 가속

 

유망 신산업 주요지역 수출증감률(%) : (아세안)28.4, (인도)72.1, (CIS)15.7

유망 신산업 남북교역축 신흥시장 수출비중(%) : (’17)28.4 → (’18.,)28.5

 

󰊳 상세 품목별(MTI 3단위 기준)로는 반도체·화장품(비누치약 포함)·컴퓨터·석유제품·정밀화학원료가 수출증가율이 큰 상위 5대 품목으로 집계(10 달러 이상 수출 품목 중 수출증가율 상위 5대 품목)

 

세부품목 수출실적(’18.억 달러·전년비%) : (반도체)612.7(42,9), (화장품)32.1(39.8), (컴퓨터)56.7(38.4), (석유제품)220.1(34.3), (정밀화학원료)40.6(34.3)

 

ㅇ 주력 품목별로 고부가가치 세부 품목(전기차·유기발광다이오드(OLED)·차세대저장장치(SSD) )이 차지하는 비중도 상승세로 주력품목 내 고부가가치화확대

 

수출비중 변화(’17’18.,, %) : (전기차/자동차)2.23.3,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디스플레이)33.735.3, (SSD/컴퓨터)60.261.5

 

특히전기차/자동차 수출비중 7년 연속유기발광다이오드(OLED)/디스플레이(DP)는 4년 연속 증가 중

 

2. 주요 증가 품목 심층 분석

 

󰊱 (석유화학최근 2년간 두 자릿수 증가(’1723.6%, ’18.,13.2%) 및 7분기 연속 증가(7개월 연속 40억 달러 이상)로 성장세 재진입(’18.,비중 8.4%,3위 품목)

 

 (성장 과정) ‘60년대부터 정부의 경제개발계획(’62~) 일환으로 기초원료 자급화와 수출 확대를 위해 석유화학 산업 집중적으로육성* ’03년 최초 100억 달러(119.2억 달러) 수출 돌파

 

* ’70년대석유화학공업 육성법제정여수울산 석유화학단지 준공 등

 

- 선제적 사업재편, 고부가고기능 소재 생산 확대를 통한 국제 경쟁력 공고화 세계 생산 4(에틸렌 기준)수출 4 강국으로 부상

 

석유화학 주요 생산국(에틸렌 기준) : (1)미국, (2)중국, (3)사우디

 

 (산업 특성설비 구축에 대규모 투자 및 장기간 시간을 요하는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자동차전자섬유 등 각종 산업에 필요한 중간재(기초소재 등) 공급하는 후방 산업연관효과가 광범위한 기간산업

 

ㅇ (최근 수출 증가요인유가 및 수출 단가 상승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신증설 설비 가동으로 인한 생산물량 확대 등 영향으로 2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7분기 연속 증가)

 

’18년 에틸렌 수급전망(공급/수요백만톤) 아시아 0.95(=57.7/61)글로벌 0.99(=157/158)

분기별 수출 증감률(%) : (’16.4Q)9.3, (’17.1Q)38.0, (2Q)17.8, (3Q)24.3, (4Q)15.8, (’18.1Q)8.1, (2Q)18.6

 

 (주요품목) 합성수지('18.비중 47.1%)합섬원료(4.6%)합성고무(6.2%) 

 

품목별 수출 증감률(’18., %) : (합성수지)18.2, (합섬원료)8.3, (합성고무)4.9

 

 (주요 수출지역중국('18.비중 42.4%)아세안(11.6%)유럽연합(EU)(9.0%) 

 

지역별 수출 증감률(’18.,, %) : (중국)6.5, (아세안)8.1, (EU)21.7

 

󰊲 (석유제품) ‘12년 역대 최대 실적(561.0억 달러) 기록 후 수출 하락세가 이어졌으나작년부터 반등하여 2년 연속 30% 이상 성장(’1732.4%, ’18.,34.3%) 및 4위 수출 품목(’18.,비중 7.4%)으로 도약(‘176’18.,4)

 

 (성장 과정‘62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발표와 함께 국내 정유 산업이 시작된 이후 ’64년 정유공장 최초 가동 및 수요 증가대응한 지속 투자로 설비규모 80배 이상 확대(‘643.5’17310b/d)

- ‘80년대부터 임가공 및 국제 벙커링을 통하여 수출을 개시한 이후 ’04년 최초 100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였고현재 세계 6위 정제설비(세계 최대 단일시설 규모) 인프라를 통해 국제 수출 경쟁력 확보

 

’17년 정제설비 규모(b/d, BP) : (1)1,856 (2)1,451 (5)334 (6)325

단위공정당 정제능력 상위 5대 기업에 우리나라 기업 3개 포함(OGJ)

 

 (산업 특성)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 장치산업산업(화학제품 원료 등)·수송·가정용 등 수요기반이 광범위한 산업

 

석유는 전 세계 에너지원 중 사용비중이 가장 크고 ’40년에도 추세 지속(에너지원 비중 ’1733% ’40년 30% 수준전망(Energy Outlook)

 

 (최근 수출 증가요인고품질친환경 등 제품 경쟁력 확보에 따른 안정적인 수요 유지,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단가 상승 등 영향으로 2년 연속 30% 이상 성장

 

글로벌 석유수요 추이(백만b/d, IEA) : (’15)95.1, (’16)96.2, (’17)97.7, (’18e)99.1

국제유가 추이($/b) : (’17.1Q)53.1, (’17.2Q)49.8, (’18.1Q)63.8, (’18.2Qe)72.1

 

 (주요품목경유('18.비중 35.7%), 항공유(21.6%)휘발유(16.1%) 

 

세부품목 수출증감률(’18.,, %) : (경유)39.7, (항공유)29.7, (휘발유)28.0

 

 (주요 수출지역아세안('18.비중 27.0%), 중국(21.4%)일본(10.6%) 

 

지역별 수출증감률(’18.,, %) : (아세안)35.1, (중국)63.0, (일본)64.3

 

󰊳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축전지:리튬이온전지유망 신산업 품목인 에너지신산업(태양광축전지스마트미터) 세부품목 중 하나3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1617.9%, ’1751.1%, ’18.,22.9%)상승세 지속시 올해도 역대 최대실적(최초 40억 달러) 달성 가능성(’18.,20.5억 달러)

 

ㅇ (성장 과정기존 소형(정보기술(IT)기기전동공구 등)에서 중대형(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 중심 수요 증가 및 관련 시장 급성장 흐름 가운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국제 시장 주도

 

*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시장 성장 전망(억 달러, B3) : (’17)83 → (’25)586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이온전지 시장 성장 전망(억 달러, B3) : (’17)15 → (’25)33

 

- ‘12년 최초 20억 달러(25.2억 달러) 이상 수출 실적 기록 후 지난해 51.1% 증가하여 최초 30억 달러(35.2억 달러) 및 역대 최대 실적 달성

 

ㅇ (산업 특성후방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후방산업의 기술개발을 토대로 전방산업의 신규시장 선점 등 연쇄 효과가 큼

 

- 기존 정보기술(IT)기기 소형 전지에서 전기차에너지저장시스템(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중대형 전지 신규수요 증가에 따라 전체적인 시장규모 지속 확대 전망

 

 (최근 수출 증가요인주요 완성차 업체 전기차용 납품 증가(특히유럽연합(EU)미국 등에서 선전) 및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활성화에 따라 수출 호조(‘18.,20.5억 달러)

 

세계 신규 전기차 판매량(천대·전년비%): (’16)744(37.6)(’17)1,149(54.3)

세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량(MWh·전년비%): (’16)1,215(80.7)(’17)2,195(111.9)

 

 (주요 수출지역유럽연합(EU)('18.비중 42.2%), 미국(16.7%)중국(16.3%) 

 

지역별 수출증감률(’18.,, %) : (EU)32.2, (미국)22.8, (중국)16.3

 

󰊴 (고성능섬유유망 신산업 품목인 첨단신소재(고성능섬유고부가합성수지) 세부품목 중 하나2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1716.4%, ’18.,39.2%)에 따라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2.5억 달러) 달성에 이어 현 추세 유지시  최대 실적 경신 전망(’18.,1.6억 달러)

 

 (성장 과정) 60년대 초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주력산업 편입된 이후‘90년대 세계 3위 수출 국가*로 급성장

 

현재는 세계 9(’15년 기준수준으로 주요 수출국 지위 유지중

 

섬유는 ’00년도에 사상 최대 수출 실적(187.8억 달러) 달성 이래 매년 안정적으로 100억 달러 이상 수출을 기록중이며최근 생산기반 해외 이전 등에 대응해고성능섬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노력중

 

 (산업 특성) 섬유 산업은 제조업 중 기업 비중 11.5%, 일자리 비중 7.4% 차지하는 주력산업으로 고용창출 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

 

* ’16년 기준 1인이상 사업체수 48천개(제조업 전체의 11.5%), 종사자수 306천명(7.4%)

 

- 특히 탄소섬유·아라미드 등 고성능섬유는 자동차·토목건축·항공 등 (산업의 주요 기초소재 공급하는 기반산업

 

(탄소섬유프리프레그내열내충격성으로 자동차토목건축 등 경량재내열재에 활용

(아라미드강력내열성으로 보호용 장비(장갑헬멧 등및 소방 방호복 등에 활용

 

ㅇ (최근 수출 증가요인미국 등 주요시장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호조, 전기차·하이브리드 등 차세대(경량화 등) 자동차 산업 신재생에너지(풍력 등) 시장 확대(탄소섬유·프리프레그)안전·환경규제 강화 등에 따른 고성능 보호복 등 수요 창출(아라미드) 등 영향으로 수출 증가

 

 (주요품목탄소섬유('18.비중 43.6%)아라미드(43.4%)프리프레그(13.0%) 

 

세부품목 수출증감률(’18., %) : (탄소섬유)64.2, (아라미드)28.9, (프리프레그)11.7

 

 (주요 수출지역중국('18.수출 비중 20.9%), (20.6%)일본(18.3%)

 

지역별 수출증감률(’18., %) : (중국)16.5, (미국)25.2, (일본)133.1

 

3.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 김선민 무역정책관은 중 무역갈등 등 어려운 대외 여건 하에서도 우리나라 전체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특히,수출 품목 다변화와 고부가가치화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며,

 

ㅇ 향후에도 실물경제 대응반을 통한 모니터링 강화신남방신북방 등 대체시장에 대한 수출마케팅 강화피해 우려기업 대상 긴급 무역금융 지원 등을 통해 대외 위협을 최소화 하는 한편

 

ㅇ 소재유망 신산업 등 수출산업의 고도화를 통해 수출의 부가가치를 제고하고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새로운 수출 먹거리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도 경주할 계획이라고 밝힘


산자부 보도자료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