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뉴스

’18 상반기 석유제품 2.6억 배럴 수출, 상반기 기준 사상 최대

728x90
반응형

18 상반기 석유제품 2.6억 배럴 수출상반기 기준 사상 최대

 

 미국산 원유는 1,410만 배럴을 수입전년 대비 358% 급증

 납사LPG 소비 증가로 석유소비는 4.7억 배럴로 역대 최대

 수송부문 소비가 감소(0.5%)하면서 경유 소비량은 정체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 상반기에 원유수입, 석유제품 소비·수출·생산·수입이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물량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모두 증가해 활황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원유 수입 : 수입선 다변화 추세 진전

 

 2018년 상반기 원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5 6천만 배럴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원유 수입량(백만 배럴) : (’17.) 542.7  (’18.) 557.4, 2.7%

 상반기 기준 원유수입 실적(백만 배럴) : (1) 557.4('18.) (2) 542.7('17.)

 

 지역별로는 중동산 원유의 수입 비중은 감소한 반면, 아시아, 미주, 아프리카, 구주 지역으로부터의 원유수입 비중은 증가했다.

 

 중동산 원유 수입(전체 수입의 76.6%)은 두바이유 가격 상승에 따른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와 두바이유간 가격격차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했다.

 

 Dubai유 가격(달러/배럴) : (’17.) 51.47  (’18.) 67.99, 32.1%

 유종간 가격 격차(WTI-Dubai, 달러/배럴) : (’17.) 1.37  (’18.) 2.62

 

 한편, 미국, 멕시코 등 미주지역으로부터 수입량은 셰일오일 등 미국산 원유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137% 증가했다.

 

- 특히, 미국 셰일오일 생산 증가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감산으로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이 두바이유보다 낮은 가격역전현상이 지속되면서 미국산 원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58% 급증했으며, 2017년 연간 수입량 1,343만 배럴을 상반기에 초과했다.

 

 미국산 원유 수입량(만 배럴) : (’17.) 308  (’18.) 1,410, 358.1%

 

< 지역별 원유 수입량 (백만 배럴, %) >

구 분

중동

아시아

미주

아프리카

유럽

합계

2017.

460.8(84.9)

40.0(7.4)

14.7(2.7)

14.0(2.6)

13.2(2.4)

542.7(100.0)

2018.

427.3(76.6)

56.6(10.2)

34.9(6.3)

20.7(3.7)

17.9(3.2)

557.4(100.0)

증감률

7.3

41.7

137.0

48.2

35.1

2.7

 석유제품 수요 : 소비 및 수출

 

 (석유제품 소비) 석유화학원료용 납사액화석유가스(LPG), 항공유 등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석유제품 소비는 1.8% 증가 4 7천만 배럴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휘발유·경유) 차량등록 대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가상승 영향 등으로 휘발유와 경유 소비는 전년 대비 각각 1.4%, 0.05% 증가에 그쳤다.

 

 두바이유(달러, 증감률) : ('17.) 51.47(40.1%)  ('18.) 67.99, 32.1%

 국내 휘발유(, 증감률) : ('17.) 1,493.59  ('18.) 1,569.11, 5.1%

 국내 경유(, 증감률) : ('17.) 1,284.23  ('18.) 1,366.52, 6.4%

 

- 경유 소비량은 등록차 증가세 둔화와 함께 미세먼지 대책 등의 영향으로 전년 상반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 특히, 경유소비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수송부문에서 경유소비가 감소한 것이 경유소비 정체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휘발유 등록차량(천 대, 증감률) : ’17년 상반기 10,251(2.9%)  ’18년 상반기 10,510(2.5%)

 경유 등록차량(천 대, 증감률) : ’17년 상반기 9,377(4.8%)  ’18년 상반기 9,765(4.1%)

 휘발유 소비량(백만 B, 증감률) : ’17년 상반기 38.5(0.8%)  ’18년 상반기 39.0(1.4%)

 경유 소비량(백만 B, 증감률) : ’17년 상반기 82.2(1.1%)  ’18년 상반기 82.2(0.05%)

 수송부문 경유 소비량(백만 B, 증감률) : ’17년 상반기 67.7(2.0%)  ’18년 상반기 67.4(0.5%)

 경유소비량에서의 수송부문 비중 : ’17.상반기 82.4%, ’18.상반기 82.0%

 

 (납사) 석유화학산업의 호조에 따른 원료수요 증가로 납사 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국내 에틸렌 생산량(만 톤) : ('17.) 426.6  ('18.) 446.4, 4.7%

 납사 소비량(백만 B) : ('17.) 222.9  ('18.) 226.5, 1.6%

 

 (LPG) 액화석유가스(LPG)차량 등록대수가 감소함*에 따라 수송부문 액화석유가스(LPG) 수요는 감소했으나, 납사를 대체하기 위한석유화학원료용 수요가 증가*하면서 액화석유가스(LPG)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LPG 차량 등록대수(천 대) : ('17.) 2,141  ('18.) 2,071, 3.3%

 수송 부문 LPG 소비량(백만 B) : ('17.) 17.7  ('18.) 16.9, 4.6%

 석유화학 부문 LPG 소비량(백만 B) : ('17.) 18.7  ('18.) 22.3, 19.1%

 

 (항공유) 항공유 소비는 해외여행 수요와 항공화물 수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항공운항 실적(국내+국제) : ('17.) 318,383  ('18.) 338,503, 6.3%

 

< 주요 석유제품별 소비량 (백만 배럴, %) >

구 분

납사

경유

LPG

휘발유

항공유

기타

합계

2017

상반기

222.9(48.5)

82.2(17.9)

52.7(11.5)

38.5(8.4)

18.5(4.0)

44.7(9.7)

459.4(100.0)

2018

상반기

226.5(48.4)

82.2(17.6)

56.3(12.0)

39.0(8.3)

19.8(4.2)

43.7(9.4)

467.6(100.0)

증감률

1.6

0.05

6.9

1.4

7.2

2.1

1.8

 

 (석유제품 수출) 수출량 4.2% 증가 2 6천만 배럴 상반기 기준 역대최고 실적을 나타냈으며, 수출액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3% 증가한 220억 달러를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량(백만 B) : ('17.) 245.6  ('18.) 256.0, 4.2%

 석유제품 수출액(억 달러) : ('17.) 163.9  ('18.) 220.1, 34.3%

 

 (휘발유) 베트남내 정유공장 신규 가동으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상대국인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감소했으나, 인도네시아로의 수출이 대폭 증가하면서 휘발유 전체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42백만 배럴을 기록했다.

 

  베트남 수출량(백만B) : (’17.상반기) 13.6(’18.상반기) 12.4, 8.7%

  인도네시아 수출량(백만B) : (’17.상반기) 0.2(’18.상반기) 4.7, 2,151%

 

 (경유) 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올해부터 경유에 무관세가 적용되어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538만 배럴로 급증고, 이집트, 앙골라 등 아프리카 지역으로의 수출도 증가하면서 경유 전체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량( B, '18./'17.) : (베트남) 538/- (이집트) 259/- (앙골라) 984/803

 

 (항공유) 미국과 네덜란드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항공유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했다.

 

- 특히, 미국내 항공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항공유 최대 수출대상국인 미국의 수입수요가 감소한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국 항공유 생산량(백만 B) : ('17.15) 252  ('18.15) 265, 5.1%

 (중유(벙커C)) 휘발유, 경유 등을 생산하는 고도화 시설에 원료로 투입하던 중유(벙커C) 일부가 수출로 전환*됨에 따라 중국과 말레이시아로 수출이 대폭 증가하면서 벙커C유 수출은 전년 대비 300% 급증했다.

 

 ’17.8월에서 ’18.4월까지 일부 정유사의 중질유 고도화시설의 가동이 중단됨에 따라 고도화시설에 원료로 투입되지 못한 벙커C유를 수출로 전환

 

 국가별 수출량( B, '18./'17.) : (중국) 869/175, 397%, (말레이시아) 441/86, 411%

 

< 주요 석유제품별 수출량 (백만 배럴, %) >

구 분

경유

항공유

휘발유

벙커C

기타

합계

2017.

85.7(34.9)

57.8(23.5)

42.0(17.1)

3.7(1.5)

56.3(23.0)

245.6(100.0)

2018.

86.7(33.9)

56.6(22.1)

42.2(16.5)

14.8(5.8)

55.7(21.7)

256.0(100.0)

증감률

1.1

2.2

0.5

299.9

1.0

4.2

 

 석유제품 공급 : 생산 및 수입

 

 (석유제품 생산) 석유제품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62천만 배럴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 물량을 기록했다.

 

 (납사) 제품 수요 증가에 따라 석유화학산업의 원료인 납사 수요가 증가하여 생산량은 전년 대비 5.7% 증가한 16천만 배럴을 기록했다.

 

 납사 소비량(백만 B, 증감률) : ('17.) 222.9  ('18.) 226.5, 1.6%

 

 (벙커C) 일부 중질유 고도화시설 가동 차질* 벙커C유 생산은 전년 상반기 대비 16.0% 증가했다.

 

 ’17.8월에서 ’18.4월까지 일부 정유사의 중질유 고도화시설의 가동 중단에 따라 고도화시설에 원료로 투입되지 못한 벙커C유가 판매용으로 시장에 공급됨

 

< 주요 석유제품별 생산량 (백만 배럴, %) >

구 분

경유

납사

항공유

휘발유

벙커C

기타

합계

2017.

169.1(28.4)

148.8(25.0)

82.9(13.9)

77.6(13.0)

31.3(5.3)

86.2(14.5)

595.9(100.0)

2018.

169.4(27.5)

157.3(25.5)

85.2(13.8)

79.2(12.8)

36.3(5.9)

89.3(14.5)

616.8(100.0)

증감률

0.2

5.7

2.8

2.1

16.0

3.6

3.5

 (석유제품 수입) 납사, 액화석유가스(LPG) 등의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 1 7천만 배럴을 기록했다.

 

 (납사) 수입물량 중 가장 높은 비중(63.0%)을 차지하는 납사는 석유화학원료용 수요 증가로 국내 생산량 증가(5.7%)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 1 6백만 배럴이 수입되었다.

 

 납사 수입량(백만 B) : ('17.) 99.7  ('18.) 105.9, 6.2%

 

 (액화석유가스(LPG))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납사 가격 상승*으로 납사 대체용 액화석유가스(LPG)(석유화학원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액화석유가스(LPG)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한 4천만 배럴을 기록했다.

 

- ’18.상반기 유가상승에 따라 액화석유가스(LPG) 가격도 상승했으나 납사와의 가격 차이로 석유화학용 원료로액화석유가스의 투입이 증가했다.

 

 납사 가격($/) : (’17.) 473.1  (’18.) 615.9, 30.2%

 LPG 가격($/, ’18./’17.) : (프로판) 521.7/437.5(19.3%), (부탄) 512.5/494.2(3.7%)

 LPG 부문별 소비량(백만 B, 증감률) : (산업) 27.7, 13.5%, (수송) 16.9, 4.6%

 

< 주요 석유제품별 수입량 (백만 배럴, %) >

구 분

납사

LPG

벙커C

경유

휘발유

기타

합계

2017.

99.7(62.5)

37.9(23.8)

21.3(13.4)

0.1(0.1)

0.6(0.4)

0.0(0.0)

159.6(100.0)

2018.

105.9(63.0)

39.9(23.7)

22.1(13.1)

0.1(0.1)

0.1(0.0)

0.1(0.1)

168.2(100.0)

증감률

6.2

5.3

3.7

7.1

86.4

208.3

5.4

 

산자부 보도자료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